수근골 탈구란 무엇인가? 손목 부상 원인과 특징
목차
수근골 탈구는 손목을 이루는 여러 작은 뼈 중 수근골(Carpal bones)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관절 안정성이 손상되는 손목 부상입니다. 손목은 8개의 수근골이 서로 맞물려 정교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작은 충격에도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치료가 늦거나 방치되면 손목 기능 저하, 만성 통증, 관절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근골 탈구의 주요 원인은
손목을 과신전 혹은 과굴곡 상태로 강한 충격을 받을 때, 넘어지며 손을 짚는 낙상, 교통사고, 스포츠 부상 등 외상성 요인이 많습니다. 손목 중앙부의 주상골, 삼각골, 척골측 수근골 등은 충격에 민감하여 탈구와 골절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주요 증상은 손목 부위 통증, 부종, 변형, 움직임 제한이며, 경우에 따라 손가락 저림이나 혈액순환 이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 염좌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며, 치료 지연 시 관절 불안정과 기능 저하가 장기화될 수 있습니다.
수근골 탈구의 정확한 진단 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영상 검사와 이학적 평가가 필수입니다. 우선 손목 X-ray 촬영을 통해 탈구 위치와 전위 정도를 확인합니다. 전후(AP), 측면(Lateral), 사선(Oblique) 촬영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평가하며, 미세한 탈구나 복합 골절은 단순 X-ray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경우 CT(컴퓨터 단층촬영)를 통해 3차원 골격 구조를 분석하거나, MRI(자기공명영상)로 연부조직 손상과 인대 손상 여부를 정밀하게 평가합니다. MRI는 특히 손목 인대 손상 평가에 중요하며, 정확한 치료 계획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해부학적 압통 검사와 손목 부종, 움직임 제한, 신경 증상 여부 등을 함께 평가하여 탈구 정도와 관절 안정성을 확인합니다. 조기 진단은 치료 기간 단축과 합병증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수근골 탈구 치료와 재활 방법
수근골 탈구 치료는 탈구 정도, 골절 동반 여부, 인대 손상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탈구 정도가 경미하고 골절이 없는 경우 적용
- 손목 부목 또는 깁스 고정으로 4~6주 안정화
- 이후 점진적 재활 운동으로 손목 기능 회복
2) 수술적 치료
- 전위가 크거나 불안정한 탈구
- 골절 동반 또는 인대 손상 시
- 내고정술(핀, 나사) 및 인대 봉합 시행
- 수술 후 2~4주 부목 고정, 이후 단계적 재활
3) 재활
- 초기: 손가락 스트레칭, 손목 가벼운 수동 운동
- 중기: 근력 강화, 관절 가동 범위 회복
- 후기: 스포츠 복귀, 손목 안정화 운동
- 꾸준한 재활은 재탈구 예방과 손목 기능 회복의 핵심입니다.
치료가 지연되면 관절 불안정, 만성 통증, 수근골 불유합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합병증 예방과 손목 관리 방법
수근골 탈구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불유합(Nonunion): 골절이 완전히 붙지 않아 손목 기능 저하
- 관절염 진행: 장기간 손목 불안정으로 관절염 발생
- 재탈구 가능성: 초기 안정화 및 재활 부족 시 재발
예방을 위해서는 손목 보호대 착용, 손목 과사용 방지, 규칙적인 근력 강화 운동,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필요합니다.
치료 후에도 스포츠 활동이나 작업 시 손목에 과도한 하중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며, 정기적인 손목 상태 점검이 권장됩니다.
수근골 탈구는 작은 손목뼈 손상이지만, 조기 진단, 전문 치료, 체계적 재활이 손목 건강을 지키는 핵심입니다.
수근골 탈구는 손목 구조에 중요한 손상으로, 초기 통증이나 부종이 경미하더라도 방치하면 장기적인 기능 저하와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손목 통증, 변형, 움직임 제한이 나타나면 반드시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치료 이후 꾸준한 재활과 생활 관리로 손목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질병(질환)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건초염(De Quervain 병)의 진단과 치료 (0) | 2025.09.01 |
---|---|
방아쇠 수지 증후군(Trigger Finger)의 진단과 치료 (0) | 2025.09.01 |
중수지 관절 관절염의 진단과 치료 (0) | 2025.08.31 |
삼각섬유연골(TFCC) 손상의 진단과 치료 (0) | 2025.08.30 |
주상골 골절의 진단과 치료 (0) | 2025.08.30 |
수근골 골절의 진단과 치료 (0) | 2025.08.29 |
척골 골절의 진단과 치료 (0) | 2025.08.29 |
원위 요골 골절의 진단과 치료 (0) | 2025.08.29 |